내년 대선을 앞두고 각종 언론 매체에서 정치 관련 기사를 과잉 양산하는 데 대한 일반 국민들의 피로감이 커지고 있다. 각 진영의 입장을 그대로 옮겨와 기사의 대부분을 정치 기사로 도배하거나, 메인 기사를 정치권 인물의 일거수일투족으로 채우다 보니 정작 코로나19 사태 속에 생활에 도움이 되는 기사들을 찾기 어려울 정도이다.
종이 매체나 TV를 통한 매체보다 인터넷을 통한 메일 포털에서 기사를 접하는 경우가 많아진 상황에서 비슷비슷한 정치 관련 기사가 주로 전면에 배치되다 보니, 정치 과잉기사에 대한 거부감도 늘어나고 있다.
사회면 기사 또한 혐오를 유발하는 자극적 기사를 배치하거나 외국, 특히 중국의 황당한 사건을 소개하는 뉴스를 마치 한국 내에서 발생한 듯한 기사 제목으로 오인하게 하는 기사가 종종 눈에 띄다 보니 언론 자체에 대한 불신감을 키우고 있다.
이러한 과잉 정치기사와 자극적 사회기사의 양산의 원인은 여러 가지로 지적될 수 있지만, 그 하나로 정부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모두 언론사를 관리한다는 입장에서 기사양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양을 채우기 위한 기사 제작을 부추기는 정부 정책은 제고되어야 한다.
언론 매체의 부족으로 정보에 대한 갈증이 컸던 지난 시절과는 달리 지금은 언론 매체는 차고 넘친다.
'일간'은 원래 '격일간', '주간' , '순간', '월간', '연간'에서 차례로 국민들에게 제공할 정보양이 부족함에 기인하여 역순으로 발전한 것이다. 언론사가 영리를 추구하지 않는다면 매일 기사를 양산할 필요는 없으며, 그 시점을 정부에서 강요하는 것도 어불성설이다. 불필요한 기사를 지면이나 인터넷 상에 가득 채우는 것이 언론사의 역할은 아니다.
1주일에 몇 개 이상의 기사를 작성하는지를 감독하고, 이를 어기면 과태료 처분 등을 내리겠다고 엄포놓으며 고분고분하지 않은 언론사에는 특별히 주시하겠다고 협박하는 갑질 정책과 갑질 공무원이 과잉 기사를 양산하는 원인이라면, 이러한 정책은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수행하는 공무원의 시각 전환이 요구되지 않을 수 없다.
언론 관련 법령 통과 문제로 최근 논란이 있다.
언론의 지나치게 무책임한 태도 개선이 필요하다면, 불필요한 기사를 양산하게 만드는 환경을 개선하는 데도 정부와 국회의 관심을 기대한다. 특히 언론에 대해 갑질하는 공무원은 반드시 척결해야 한다.